시장의 단계를 고려한 신사업 전략
신사업을 분석하는데 있어 해당 신사업이 어떤 단계인지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는 것이 사업 전략을 수립하고 기획하는데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거시 환경의 변화에 따른 시장 Cycle에 대한 조사도 필요하지만 여기서는 제품과 서비스로 대변되는 사업의 경우에 한해서 설명드릴려고 합니다.
흔히 제품 생애 주기 (Product Life cycle, PLC)와 혁신 확산 이론(Inovation Diffusion Theory), 가트너의 Hype cycle은 시장의 단계를 구분하는데 활용되고 있습니다만 각 개념에 대해서만 알고 있고 서로 어떤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지에 대한 고민은 보통 잘 하지 않습니다. 여기서는 세가지 개념의 관계와 각 단계별 사업 전략을 수립하는 방식에 대해 간단히 설명 드리려고 합니다.
제품 생애 주기(Product Life Cycle)는 미국의 경영학자인 레이몬드 버네트(Raymond Vernon)가 1966년에 처음 제안한 개념으로 제품이 출시되어 시장에서 성장하고 쇠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모델입니다. PLC는 제품의 판매량과 수익성을 예측하고, 제품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Roger의 혁신 확산 이론과 가트너의 하이프 사이클은 PLC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품이나 기술의 시장 진입과 성장을 예측하는 데에 활용됩니다.
Roger의 혁신 확산 이론(Inovation Diffusion Theory)은 제품이나 기술이 시장에서 어떻게 확산되는지를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혁신을 받아들이는 사람들을 5가지 그룹으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이 그룹은 혁신을 가장 먼저 받아들이는 "이른바 초기 채용자(Early Adopters)", 그 다음으로 받아들이는 "이른바 초기 다수(Majority)", 그리고 나중에 받아들이는 "이른바 후기 다수(Laggards)" 등으로 나누어집니다.
이와 유사하게, 가트너의 하이프 사이클은 제품이나 기술의 시장 성장과정을 설명하는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Technology Trigger", "Peak of Inflated Expectations", "Trough of Disillusionment", "Slope of Enlightenment", "Plateau of Productivity"의 5단계로 나누어집니다.
PLC, Roger의 혁신 확산 이론, 가트너의 하이프 사이클은 모두 제품이나 기술의 시장 진입과 성장을 예측하는 데에 활용됩니다. 이들 모델을 활용하여 각 단계별 사업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도입 단계(Introduction Stage)
PLC: 제품이 처음 출시되어 시장에 진입하는 단계
혁신 확산 이론: 초기 채용자(Early Adopters)를 대상으로 제품의 기술적인 우수성을 강조하고,
초기 채용자들을 대상으로 마케팅을 진행
하이프 사이클: Technology Trigger 단계에서 제품의 기술적인 우수성을 강조하고,
초기 채용자들을 대상으로 마케팅을 진행
성장 단계(Growth Stage)
PLC: 제품의 인기와 수요가 급증하는 단계
혁신 확산 이론: 초기 다수(Majority)를 대상으로 제품의 생산량을 늘리고 유통망을 확대하는 등의 전략을 수립
하이프 사이클: Peak of Inflated Expectations 단계에서 제품의 차별화 전략을 수립
성숙 단계(Maturity Stage)
PLC: 제품의 성장세가 둔화되고 경쟁이 치열해지는 단계
혁신 확산 이론: 후기 다수(Laggards)를 대상으로 제품의 차별화 전략을 수립하고,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강화
하이프 사이클: Trough of Disillusionment 단계에서 제품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쇠퇴 단계(Decline Stage)
PLC: 제품의 수요가 감소하고 시장에서의 입지가 약화되는 단계
혁신 확산 이론: 대체품 개발이나 새로운 시장 개척 등의 전략을 수립
하이프 사이클: Plateau of Productivity 단계에서 제품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시장에서의 성장을 유지하며 수익을 극대화
따라서, PLC, 혁신 확산 이론, 가트너의 하이프 사이클을 활용하여 제품이나 기술의 시장 진입과 성장을 예측하고, 각 단계별 사업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제품이나 기술의 시장 성장을 예측하고, 적절한 전략을 수립하여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2023.07.19 - [사업에 관한 생각] - 제품 수명 주기에 따른 기업 가치 변화
제품 수명 주기에 따른 기업 가치 변화
제품수명주기(Product Life Cycle)는 제품이 출시되어 성장하고 쇠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모델입니다. 이 모델을 활용하여 각 단계별로 기업의 ROE(Return on Equity), PSR(Price Sales Ratio), PER(Price Earnings Ratio
nextwaves.tistory.com
2023.07.25 - [사업에 관한 생각] - 제품수명주기(PLC)와 혁신확산이론을 통해 바라본 반도체 산업
제품수명주기(PLC)와 혁신확산이론을 통해 바라본 반도체 산업
현재의 반도체 산업은 PLC(Product Life Cycle)와 혁신확산이론의 다양한 단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기존 반도체 제품들은 성숙단계에 접어들어 PLC에서의 성장이 점차 둔화되고 있습니다. 반면 새로
nextwaves.tistory.com
2023.07.19 - [사업에 관한 생각] - 제품 수명 주기와 기업 가치 변화와의 관계 - PSR, PER, 멀티플
제품 수명 주기와 기업 가치 변화와의 관계 - PSR, PER, 멀티플
PSR(Price Sales Ratio)과 PER(Price Earnings Ratio)은 기업의 가치를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이 두 지표는 주가와 관련이 있으며, 멀티플(multiple)이라는 개념으로 표현됩니다. 멀티플은 기업의 주가를
nextwaves.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