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7. 25. 00:58ㆍ사업에 관한 생각
현재의 반도체 산업은 PLC(Product Life Cycle)와 혁신확산이론의 다양한 단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기존 반도체 제품들은 성숙단계에 접어들어 PLC에서의 성장이 점차 둔화되고 있습니다. 반면 새로운 기술과 제품들은 혁신확산이론의 초기단계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성장과 새로운 시장의 개척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각 신규 사업들은 반도체 산업에서의 PLC와 혁신확산이론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AR/VR (증강현실/가상현실)
ARVR 기술은 혁신확산이론의 초기단계에 있으며,
소비자와 기업 부문 모두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반도체 산업에서는 ARVR 디바이스와 관련된 센서, 통신 기술, 그래픽 처리 장치 등의 제품 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AR/VR 기술은 PLC에서의 기존 제품 시장을 확대하며, 혁신확산이론의 초기단계에 있는 새로운 제품 시장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침투율은 약 20% 정도로 추정되며, 캐즘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HBM (High Bandwidth Memory)
HBM은 혁신확산이론의 초기단계에 위치하고 있으며, 반도체 산업에서 급속한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HBM은 높은 대역폭과 저전력 소비를 제공하여 고성능 그래픽 카드, AI 가속기 등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HBM 기술은 PLC에 있는 기존 제품들의 시장을 대체하고 높은 성능의 제품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침투율은 약 30% 정도로 추정되며, 캐즘을 극복하여 높은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생성형 AI (Generative AI)
생성형 AI는 반도체 산업에서도 혁신확산이론의 초기단계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산업에서의 신규 사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생성형 AI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있으며, 하드웨어 산업에서의 침투율도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침투율은 약 15% 정도로 추정되며, 캐즘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자율주행 기술은 혁신확산이론의 초기단계에 위치하고 있으며, 자동차 산업에서의 주요 기술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산업에서도 자율주행을 위한 센서, 프로세서 등의 제품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침투율은 약 10% 정도로 추정되며, 캐즘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현재 반도체 산업은 PLC와 혁신확산이론의 다양한 단계에 위치하고 있으며, AR/VR, HBM, 생성형 AI, 자율주행과 같은 신규 사업들은 혁신확산이론의 초기단계에 있습니다. 이러한 신규 사업들은 침투율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시장 개척에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HBM과 생성형 AI는 캐즘을 극복하여 높은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023.07.19 - [사업에 관한 생각] - 시장의 단계를 고려한 신사업 전략
시장의 단계를 고려한 신사업 전략
신사업을 분석하는데 있어 해당 신사업이 어떤 단계인지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는 것이 사업 전략을 수립하고 기획하는데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거시 환경의 변화에 따른 시장 Cycle에 대
nextwaves.tistory.com
2023.07.19 - [사업에 관한 생각] - 제품 수명 주기에 따른 기업 가치 변화
제품 수명 주기에 따른 기업 가치 변화
제품수명주기(Product Life Cycle)는 제품이 출시되어 성장하고 쇠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모델입니다. 이 모델을 활용하여 각 단계별로 기업의 ROE(Return on Equity), PSR(Price Sales Ratio), PER(Price Earnings Ratio
nextwaves.tistory.com
2023.07.19 - [사업에 관한 생각] - 제품 수명 주기와 기업 가치 변화와의 관계 - PSR, PER, 멀티플
제품 수명 주기와 기업 가치 변화와의 관계 - PSR, PER, 멀티플
PSR(Price Sales Ratio)과 PER(Price Earnings Ratio)은 기업의 가치를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이 두 지표는 주가와 관련이 있으며, 멀티플(multiple)이라는 개념으로 표현됩니다. 멀티플은 기업의 주가를
nextwaves.tistory.com
'사업에 관한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업의 퀄리티에 대한 생각 (3) : 복리의 마법과 같은 구독 사업 (4) | 2023.07.25 |
---|---|
사업의 Cycle에 관한 생각 : 반도체 피크아웃논란과 채찍효과 (0) | 2023.07.25 |
사업의 퀄리티에 대한 생각 (2) : 플랫폼 끝판왕 메타버스 (0) | 2023.07.19 |
사업의 퀄리티에 대한 생각 : 애플 밸류에이션 (0) | 2023.07.19 |
제품 수명 주기와 기업 가치 변화와의 관계 - PSR, PER, 멀티플 (0) | 2023.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