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가 여는 새로운 시장과 사업

2024. 1. 16. 23:49사업에 관한 생각

반응형

출처: Goldman Sachs, Cowen, Statista, Capital One, Wall Street Journal, Resource Watch, NVIDIA internal analysis

 

23년은 생성형 AI (Gen AI) 서비스가 상용화 가능한 수준으로 발전했다는 것을 대다수의 사람들이 인지하게 된 한 해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올해는 이러한 생성형 AI가 다양한 서비스들을 만들어 내고 이를 많은 이들이 사용하게 되는 대중화의 원년으로 보는 전문가들이 많습니다. 골드만 삭스는 AI로 인해 생산성이 높아져 세계 경제가 연 7% 성장도 가능할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생성형 AI가 던진 파문이 과거 그 어느때보다 시장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킬 것 같습니다.  이처럼 생성형 AI가 어떤 서비스들을 통해 새로운 시장과 사업을 만들어 낼 수 있는지에 대해 분석을 해보았습니다. 

오피스 AI 비서

많은 기업들은 대형 언어 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을 기반으로 한 코파일러를 사용하여 문서를 생성하거나 질문에 답하거나 놓친 회의, 이메일 및 채팅등에 대한 주요 내용을 요약하는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것입니다. 통계에 의하면 AI 코파일러를 적용한 기업은 주당 4.5 시간을 줄여주고 있다고 합니다. 이로서 사무직 근로자의 주당 업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10억 명의 지식 근로자를 타깃으로 한 한 새로운 시장이 열리는 것이며  28년까지의 침투율은 30~40%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글로벌 3~4억 명의 사용자가 생기는 시장인 것입니다.

* 코파일러(Copilot)"는 주로 대형 언어 모델을 기반으로 한 소프트웨어 도구를 가리키며, 이 도구들은 사용자에게 특정 작업에서 도움을 제공하는 데 사용

 

MS office copilot

 

전문서비스 (SW, 법률, 교육)

또한  소프트웨어 개발, 법률 서비스 또는 교육과 같은 특정 분야에 특화된 코파일러는 생산성을 최대 50%까지 높일 수 있다고 합니다. 특히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는 생성형 AI가 코드 추천 및 자동화된 코드 생성을 통해 개발자들이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는 숙련도가 높은 개발자들을 양산하는데도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글로벌 3천만개의 SW회사가 있으며 생성형 AI는 이들 B2B 고객을 타겟으로 새로운 시장을 만들 것으로 보입니다. 이미 SAP, 세일즈포스, 서비스나우 등 글로벌 SW기업들이 생성형 AI를 출시하거나 준비하고 있습니다. 법률과 교육 영역의 경우에는 28년까지 생성형 AI의 침투율을 25%~35%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스픽 AI 튜터에 Chat GPT 도입

 

 

검색과 SNS

ChatGPT를 비롯한 생성형 AI는 기존 구글, 네이버, 카카오 등 검색 포탈기반의 중개 플랫폼 시장을 대체하거나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나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플랫폼의 주요 수익원은 광고입니다. 검색과 SNS로 인한 디지털 광고 시장은 년간 $700B 시장입니다. 생성형 AI를 통해 초개인화 맞춤화된 콘텐츠와 광고를 노출시킴으로써 기존 플랫폼 사업자의 광고 효과를 뛰어넘는 퍼포먼스를 보여줄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디지털 광고 시장의 큰 지각 변동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구글은 98년에 처음 검색 서비스를 런칭하였습니다. 이후 20년간 PC와 모바일 플랫폼 광고 매출의 지속적인 성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22년 기준 구굴의 광고 수익은 $224B로 전체 디지털 광고 시장의 32% 비중을 차지 합니다.  28년까지 검색 SNS 시장의 15~25%가량 생성형 AI가 침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플랫폼 사업을 시작하는 Chat GPT

 

 

AI 컨텐츠 크리에이터

또한 생성형 AI를 통해 유튜브, 트위치, 아프리카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크리에이터들은 단일 텍스트 프롬프트로 멋진 포토리얼리스틱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광고부터 게임 개발에 이르기까지 며칠이나 걸리는 작업을 몇 분 안에 압축할 수 있습니다. 전문 방송국, 스튜디오에 못지않는 퀄리티의 컨텐츠들을 개인 크리에티브들이 쉽게 만들 수 있는 시대가 앞당겨질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글로벌로 5천 명의 크리에터들이 활동을 하고 있으며 이들을 타겟으로 하는 새로운 시장이 열릴 것으로 보입니다. 28년까지 15%~25% 침투율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게이밍 크리에티브에 특화된 지포스 RTX 40 슈퍼

 

 

콜센터, 의약, 금융 서비스

AI 챗봇을 도입한 콜센터 에이전트들은 생산성과 고객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콜센터는 글로벌로 약 1500만 개가 존재한다고 합니다. 시장 조사기관 가트너가 전 세계 상담센터에서 생성형 AI 채택 시 향후 5년 동안 800억 불의 비용 절감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한편  AI를 통해 한편 신약 개발, 금융 서비스, 농업 및 식품 서비스, 기후 예측 분야에서도 성장을 가속화 하는 촉매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신약 개발은 복잡하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과정입니다. 신약처에 따르면 신약을 개발하는데 국내 업체의 경우 1~2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며 개발기간은 평균 10~15년이라고 합니다. 생성형 AI가 분자 구조를 예측하고 화합물을 디자인하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에, 연구 및 개발 과정을 그간 생각지도 못 가속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실제 홍콩의 생명공학기업인 인실리코 메디슨 (Insilico Medicine)은 최근 만성 폐 질환인 특발성 폐 섬유화증의 새로운 치료제를 생성형 AI를 통해 신약 물질을 설계하고 46일 만에 임상 2상 시험에 돌입했다고 합니다. 생성형 AI를 도입하여 비용 10분의 1, 시간은 3분의 1로 단축하였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생성형 AI를 통해 설계한 신약 후보의 임상 2상 시험 돌입 : 인실리코

 

 

금융 분야에서 또한 생성형 AI의 주특기인 데이터 분석과 예측이 핵심 역할을 합니다. 생성형 AI가 더 정확한 예측 및 분석을 제공하기 때문에 금융 서비스 분야에서 더 많이 채택될 것입니다. 최근 금융권은 개인 AI 금융 비서 서비스를 위해 "AI 뱅커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향후 완성될 AI 뱅크는 텔러, 상담원, 심사역, 내부 통제 등 사람인 은행원의 역할의 많은 부분을 대체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는 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AI 뱅커 서비스 구조

 

핀테크 영역 등 금융 서비스에 침투하는 생성형 AI

 

 

2023.12.29 - [기술과 사업] - [AI] 온디바이스 AI와 Edge Computing

 

[AI] 온디바이스 AI와 Edge Computing

최근 온디바이스 AI(On device AI)가 시장의 화두입니다. 삼성은 24년 출시될 갤럭시 S24에 실시간 통역 통화 (AI Live Translate call) 기술을 도입하고 PC와 가전에도 AI서비스들을 확대해 나간다고 합니다.

nextwaves.tistory.com

 

2023.12.30 - [사업에 관한 생각] - 반도체 산업의 발전에 대한 연대기적 조망

 

반도체 산업의 발전에 대한 연대기적 조망

한국 GDP의 20%를 차지하는 반도체 산업은 반도체 수출물량이 10%가 줄어들면 국내 총생산의 0.78% 감소할 만큼 영향력이 매우 높은 산업군입니다. '21년 겨울부터 시작된 반도체 시장의 침체는 올해

nextwaves.tistory.com

 

반응형